자동차이야기

[스크랩] 경보기

wjdaks 2013. 1. 26. 20:18

 

설치방법 (장착하기전에)  

1. 장착전 주의사항

1) 도어룩, 히터, 에어컨, 트렁크 열림, 깜빡이등 경보기와 직접 관련있는 부분을 설치하기
    전에 작 동시켜 이상유,무를 확인할 것.

2) 경보 및 시동장치는 DC12V이며 +,-를 정확하게 구분하고 정밀한 전자 부품으로 구성
    되 어 있으므로 충격 및 습기에 주의할 것
 

2. 제품의 설치순서

1) 본네트의 엔진룸 작업(싸이렌 및 발전기선)

2) 도어모터 부착차량의 운전석 도어모터 설치작업

3) 메인박스를 기준으로 하여 먼곳부터 작업하고, 마지막으로 배선 정리작업.


 

3. 각종 배선 찾는 방법

메인 키박스선을 테이프로 처리 할 경우

테이프위를 케이블 타이로 반드 시 묶어줄 것

1) 시동선

- (+)12V= 키의 ON/OFF와 관계없이 +12V가 항상 흐르는 선

- IG1 = 자동차 시동에 필요한 전원선으로 키2단과 스타트모터를 회전시킬 때에도
   +12V 가 흐르는 선

- IG2 = 에어컨, 히터등 보조 전원선으로 키 2단때=+12V가 흐르는 선

- START= 자동차 스타트모터를 회전시켜주는 전원선으로 키를 스타트시에만 +12V가
    흐르 는 선

- ACC = 자동차 악세사리용 전원선으로 라디오등이 연결되어 있다.

2) 도어핀 스위 치

- 국산 자동차일 경우 문이 완전히 닫혀있을 때 (+) 전압이 나오고 문이 열리면 (-)
   전압으로 떨어진다.(일 본차량 동일)

- 포드의 쎄이블:문이 완전히 닫혀있을 때 (-) 전압이 나오고 문이 열리면 (+) 전압이
    나온 다.

3) 깜박등 선

- 국산, 외제차량에 관계없이 (+) 전압을 보내며 깜박이 레바를 좌우로 작동시키면서 배선
    확인 점검

4) 발전기 (제네레이터)

- 계기판의 밧데리 경고 표시등에 연결되는 전원선으로 시동이 걸리면 (+)12V전압이
   나오 고 시동이 꺼지면 약2-3V의 전압이 나온다.(IG ON상태)

5) 트렁크 열림

- (+)전압이 트렁크 솔레노이드에 연결되면 트렁크가 열린다.(삼성SM은 (-)방식)

   트렁크 오픈 스위치 누를 때 (+)12V가 흐른다.(솔레노이드가 있는 차량)
   (대우자동차는 시동키를 ON 에 두고 테스트를 하여야 한다.)

6) 도어 잠금/열 림

- LOCK, UNLOCK S/W있는 차량일 경우(뉴그렌져, 쎄이블 신형, 볼보, 체로키등 일부
   차량은 제 외)

- LOCK, UNLOCK S/W 없는 차량은 운전석 문에 도어록 모니터를 장착할 것.
   (각 차량별 배선 및 작업회로등 참조)
 

4. 수신기 부착

1) 운전석 앞유리창 위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부착

2) 겔로퍼, 엑센트등 배선 처리가 곤란할 경우 유리 하단부터 수직으로 세워 부착.
    (가급적 수 신기가 위로 올라가면 전파수신이 좋으므로 참고할 것.)
 

5. 작동표시등(LED)

1) 운전석 대쉬 보드 좌측코너에 끼울 것 (제품에 있는경우)
 

6. 충격감지기

1) 운전자의 오른발 부근 (라디오 좌측 옆부분)에 통일시켜 장착할 것.
 

7. 장착후 주의사항

1) 경보기의 각 배선 중 시동키선(6P메인선)를 마지막으로 결합할 것.

- 6P메인선 결합과 동시에 소리가 나면 각종 기능을 테스트할 것.

- 소리가 나지 않거나 기능이 제대로 발휘하지 않을 경우 각 배선의 이상 유, 무를 정확히
   점검할 것.

2) 모든 기능 검사가 완료되면 메인 BOX는 자동차의 가장 안전한 곳에 고정시킨다.

- 완벽하게 고정시키지 않으면 운행중 잡소리가 나며 고장의 원인이 된다.

- 배선은 가급적 약간의 여유만 남기고 깔끔하게 처리하여야 함,

- 메인 BOX가 클러치나 페달등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할 것.

 

 

참고사항  

1. LPG 배선 찾는법

LPG 스위치 ON 상태에서 KEY ON시에 (-)출력 KEY 시동시에 (+)출력이 나오는 선

  *참고:LPG 차량은 제네레다를 필히 연결할 것. 반드시 LPG 스위치 ON 상태에서 찾을 것

  •   겔로퍼:계기판 커버의 밑에 있는 볼트를 풀어내고 계기판 커버를 제키고 작업하거나,   LPG     쵸크를 제거한 후 작업 LPG 스위치 선은 4선중 2선  (청/백, 백)
  • 스타렉스:LPG 스위치 4선중 굵은선 2선
  • 레간자:LPG 스위치에서 연결하면 안됨 , 사이드판넬 상단 릴레이 BOX 위  굵은
    배선다발(청/흑) 1선은 청/흑 (치체 배선)에 연결하고, 다른 1선은 IG1에 연결한다.
  • 크레도스:LPG스위치 3선중 2선 반드시 LPG스위치 ON 시키고 찾을 것.(녹/백,연두/적)
  • 카렌스:LPG스위치 3선중 2선(적색, 적/녹)
  • EF소나타:4선중 1선(청색) , 릴레이-1선 청색연결 , 릴레이-1선 IG1연결
  • 산타모:(백,청/백)
  • 프리스:청/흑(클러치 위쪽 30P 짹)
  • 카니발:LPG S/W선(황색)
  • 트라제XG:LPG S/W선(갈색/백)
  • 레조:사이드 패널 위 상단 릴레이 BOX의 굵은 배선다발(백/흑,IG1) , 사이드배선
    (청/흑)

          #한선만 나와 있는 것은 (-) 다 른 한선은 IG1임.

2. 오토에어컨 및 히터

       ① 세피아 오토 에어컨(기아)

          원 리

          에어컨버튼을 켜놓고 주차해도 리모콘 시동시 에어컨이 작동되질 않는다.

          차에서 KEY를 꽃고 버튼을 다시 눌러야만 에어컨이 작동된다.

          에어컨 컴푸레셔선은 (-)전원을 받아서 작동하므로 릴레이를 사용.

          IG2(+전원)를 (-)전원으로 바꾸 어주고 이전 차량은 에어컨을 사용치 않을시는
          임의로 만든 스위치를 내려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준다.

          배선 찾는법

          에어컨 스위치 뒤쪽을 보면 넓은 컨넥터에 연두색선임.

          램프 테스터기를 (-)접지시키고 해당선을 찌르면 콤푸레셔가 작동함.
         (엔진 가동중에 검 사할 것)

         원 리

         세피아(기아)와 같은 현상이지만 대우차 종은 (+)전원에 작동되므로 별도의 릴레이가
          필요없다. 단, 에어컨을 사용치 않을시는 (겨울철) 임의로 만든 스위치를 이용 에어컨
         컴 푸레셔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야 된 다.

         배선 찾는법

         대우 차종은 엔진룸의 BATT와 미등사이의 굵은 선뭉치, 램프테스터기를 (+)전원에
         물리 고 해당선을 찌르면 콤푸레셔가 작동된다.(흑황:얇은선)

3. 차량자체 경보장치 해제법

       ①뉴세피아, 포텐샤 도난방지 크락숀

       ②삼성차:트렁크 우측 경보기 컨트롤 BOX내 짹 제거

       ③아카디아(본넷트 열림감지선 합선)

         운전대 우측의 황금색 및 은색 릴레이 BOX 정면에 흑색 컨트롤 BOX짹제거

       ④기타:차량 출고시의 리모콘으로 문을 연다음 더 이상 사용치 않으면 된다.

4. 릴레이 사용법

    경보기 장착시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에 대체, 보완할 수 있는 필스요건이므로 완벽하게
    숙지하시 기 바랍니다.

    ①5P릴레이

        85와 86은 코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시 전자식이 발생하고 이로 말미암아 30의
        유동추 는 87A에서 87로 이동하게 되는 단순한 원리이다.

    ②10P릴레이

        5P릴레이 2개를 묶어서 작어시 편리하게 하기 위한 제품이다.

    ③뉴그랜져, 다이너스에 10P릴레이 사용법

       앞뒷면 사이의 PCB를 뒤집은 상태

       도어 잠김/풀림 연결법

       납땜하지 않고 릴레이를 사용한 연결법이다

       도어스위치 제거하면 굵은배선 뭉치와 가는배선 뭉치 가 있음

5. 솔레노이드 벨브 사용법(주입시 Ⅲ번으로)

    KEY ON되면 진공호스를 막고, 부란자호스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하게 된다.

    KEY OFF되면 진공호스와, 부란자호스가 연결되어 호스 전체가 진공상태로 되면서
    시 동이 꺼짐.

    진공회로엔진 은 스타트모터에 (+)전원만 공급해서는 시동이 걸리지 않고 부란자
    호스에 공기가 주 입되어야 시동이 걸림.(무쏘 이후의 쌍용 자동차 대부분)

       ① 밸브의 두접점이며 바뀌어도 관계없다.

       ② 원격시동시 PRM이 떨리는 경우 밸브를 1개더 추가연결해 보도록 한다.

6. 다이오드 사용법

    전류의 흐름을 한쪽 방향으로 고정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위 그림은 B에서 A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어 있으며 A에서 B로는 차단되어 있다)

7. GAS차량 연결 및 사용법

       ① 원 리

          원격시동시 GAS밸브(릴레이를 이용하여 작동시킴)를 열어 차량에 연료를 공급해
          주기 위 함이며, 일단시동이 걸린 뒤 원격시동 유지기간 15분이 지났거나 중간에
          시동이 OFF시 릴레이를 이용 GAS 가 완전히 타 버린 뒤 시동이 꺼지게 된다.

       ② 연결법

          메인의 2P에 LPG릴레이를 꽂아 사용(GAS밸브 공곱출력)

          GAS차량 작업시 별도의 5P릴레 이 사용하여야 함.

8. 차종별 키박스 배선도

9. 장착시 유의사항

    수동기어 차량에 오토옵션을 선택하여 발생하는 사고는 전적으로 장착자 본인에게
    책임 이 있다.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은 해당 휴즈나 컨넥터를 빼고 작업에 임하되 경보기 설치
    완료후 원위치 시 킬것.(원 장착된 차량:휴즈를 빼지 말고 작업할 것)

    현대 차종 대부분은 클러치 접점의 두선을 합선시켜 클러치를 밟지 않아도 시동이
    걸리 게 한다,(반드시 차주에게 통보)

  • 어스(흑색)
    경보기 동작에 매우 중요한 선이며 접촉이 안 좋을 때 오동작의 주원인이 된다.
    반드시 차종의 육각볼트에 고정하고 테스터봉의 집게에 물려 확인해 본다.
  • 깜빡이
    KEY ON 상태에서 깜빡이 레바 작동시 라이트와 함께 점멸하는 선.
    단, 좌우 깜빡이에 모두 반응을 보이는 선은 비상 라이트선이니 주의할 것.
  • 도어록(-)출력선(2P 적색)
    중앙 집중식 차량에 한하여 별도의 모터 설치가 필요없다.
    도어의 잠김/풀림에 대한 S/W가 별도로 있거나 일정속도가 되면 자동으로 문이
    잠기는 차량 이 이에 해당됨. 일반적으로 문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선 뭉치에 있다.
  • 도어록 모터(+/-)출 력선 (2P적색)
    도어록을 구동하는 전기적인 장치가 없는차에 한 한다.
    도어록의 축과 모터 철사를 가능한 평행하게 맞춰 조여 주어야 한 다.


    <경보기 장착시 유의사항>  

1 . 대우차량을 장착시 시동장치 메인 박스 6P하우 징의 IG1, IG2, START및 +12V선을

    필히 자동차 키박스에서 연결할것(오토,스틱 공통)

         ☞  모든 오토차량은 작업후에 D에  위치한 상태에서 원격시동 유무를 확인하여 원격 시동이

              작동되지 않아야 합니다.

 

2 . 모든 차량(스틱)장착시 제네레타 전원 연결 요망.

문제점 : 시동 배선 연결시 작업의 편리함을 이 유로 제네레타 입력보다 전압감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결과  장착후 차량의 상태에 따라 시동예약 및 원격시동이 원만하게  작동하지 않 

             는 경 우가 생기게 되며 그로인해 불필요한 A/S가 발생될수 있습니다.(제네레타로 전환)


1. 장착전 주의 사항

1)  차량의 현 상태를 확인 할것.
(히타,에어컨,도어열림,닫힘,도어핀,트렁크오픈,발전기 상태등등….)
2)  타 회사 제품경보기 장착 된 것은 반드시 완벽하게 철거 할것.
(오 동작의 주 원인)
3)  자동차의 전자 장비,편의 시설 작동여부 반드시 확인인.
(ABS장착여부,에어백 장착여부 등등)

2. 장착후 주의 사항

1)  배선의 결선은 테이핑하고 작은 배선크립으로 반드시 결선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차체 어스는 육각 볼트를 풀어서 견고하게 하되 핏스못으로 고정시켜서는 절대 안 되며 특히, 프라스틱 제품에 어스를 고정시키는 것은 오동작의 주원인 임.
3)  모든 배선은 배선 크립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클러치 페달이이나,브레이크 페달등에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할것.
4)  수동 변속 차량일 경우 접점 합선,또는 5P릴레이 사용하고 반드시 차주에게 통보 할것.
5)  수동 변속 차량은 절대로 오토 차량으로 전환 장착을 금하며 전환시 장착자의 책임이다.

3. 각 배선별 특성

1)  시동선 (6P)
가. 본선 : 적색(12V)
Key BOX의 ON,OFF에 관계 없이 항상 12V가 흐르는 선.
나. IG1 : 녹색(이그네이션)
자동차의 시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선.
Key 2단(계기판에 불이 들어 옴)과 START 할때 12V 계속 흐르는선.
차종에 따라서 START 할때 약간의 희미한 불빛이 보이는 차종도 있으므로 주의 요망.
다. IG2 : 청색
히타,에어콘등 보조 전원 공급선이며 시동 모터 동작시 불이 들어 오지 않고 시동 걸리면 12V 흐르는 선.
Key 2단 12V,스타트시 OFF,시동 걸렸을 때 12V.
라. START : 황색
시동 모터 구동시만 12V.
마. ACC(ACCESORY) : 흰색
자동차의 악세서리 전원 공급선.
자동차의 키 감지선 역할- 스틱차의 경우 예약과 관련이 있는 전압.
경우에 따라서 IG2에 연결하는 경우 있음-ACC전압이 서서히 빠지는 경우.
Key 1단과 2단에서 12V가 흐르고 시동 모터가 구동할때는 들어 오지 않고 시동걸리면 12V 흐르는 선.
IG2와 구분할것.
바. 어스 : 흑색
경보기 동작의 가장 중요한 선.
반드시 육각 볼트로 고정. 핏스 못,프라스틱 제품과 같이 결선 절대 금지.

2)  10P짹(주 배선)
가. 깜박이 : 회색 2선
Key ON에 두고 좌우 깜박이 켰을때 테스터기에 불이 깜박임.(공동선을 찾으면 안됨)
나. 도어핀 : 백색선
도어 전체가 닫히면 테스터기에 불이 들어오거나 계기판의 문열림 표시등이 꺼지는 선.
국내에서 생산되는 차량은 (-)방식.
테스터기를 도어핀선에 접지시 계기판의 문열림 표시가 들어오는 경우도 있음.
도어의 모든 문을 감지하는 선을 찾을 것.
(뉴코란도,뉴포터,그레이스,스타렉스 등등)
다. 제네레다 : 보라색
Key 2단에서 불이 안들어 오거나, 희미하다가 시동이 걸리면 환하게 들어 오는선.
제네레다선을 실내에서 찾기 힘들경우 발전기의 L단자에서 직접 연결한다.
자사제품은 연료 모터선을 연결해도 작동하는데 문제 없음.
참고 : 연료모터선 - 키가 2단에서 불이 들어오고 3-5초 사이에 OFF되고 시동이 걸리면 다시 불이 들어 오는선.
라. SIREN : 갈색선
차체에 어스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장착.
마. 트렁크 열림 : 빨강/흰색
트렁크 오픈 버튼을 누를때 테스터기에 불이 들어옴.
대우 차의 일부 차량은 Key ON에 두고 찾아야 하는 경우 있음.
바. 트렁크 핀 : 파랑색
트렁크 열렸을 때 항상 테스터기에 불이 들어 옴.
사. 무쏘용 밸브 : 녹색(-)
자사 경보기 무쏘 솔레 노이드 밸브선,가스 릴레이 장착시 사용.
아. 예열선 : 노랑
디젤 차량의 예열 감지선 연결. 계기판에서 찾는 것이 편함.
특별한 경우만 사용.
자. 브레이크 : 주황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때 12V.
브레이크 페달밑의 S/W에서 찾으면 쉽다.

3)  2P짹(도어 열림,닫힘)
가. 도어 열림 : 분홍/청색
테스터기로 (-)전류가 들어가면 열림.
테스터기가 (+),(-)가 교차로 되는 것으로는 찾을 수 없음.
나. 도어 닫힘 : 분홍
테스터기로 (-)전류가 들어가면 닫힘.
테스터기가 (+),(-)가 교차로 되는 것으로는 찾을 수 없음.
참고 : -문 스위치를 누르고 찾아야 하는 차종도 있음.
―경우에 따라서 6A이상 다이오드를 결선해야 문의 오동작을 막을수 있음.

4)  기타 짹
가. 충격 센서
가능한 차량의 중앙에 견고하게 부착하고 깜박이 릴레이등 오동작이 있을수 있으므로 릴레이 부근에 절대부착하지 말것.(본사 출고 대로 사용하시고 예민도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한다.)
테스터기가 (+),(-)가 교차로 되는 것으로는 찾을 수 없음.
나.수신 안테나
안테나선은 12V의 전원선이 들어 있으므로 차체 어스에 주의하고 전원선과 같이 테이핑 하지 말것. (거리 불량의 원인)
차체와 5cm이상 떨어 뜨러 부착 할것.
안테나의 LED램프가 깜박 깜박시는 정상 작동.
안테나의 LED램프가 켜져 있을시는 기능 정지.
다. 노크 센서(양방향 모델만 해당)
전면유리에 견고하게 부착.

5)  기타 주의 사항
가.  모터 장착시 견고하게 장착하여 유리가 작동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할것.
나.  모터 장착시 문사이 배선을 튜브안에 넣어서 연결 할것.
다.  각 배선을 정확히 결선하고 색깔만으로 결선하지 말고 테스터기로 반드시 확인 할것.
라.  키 감키선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ACC을 IG2에 연결할것.
마.  본 제품은 엔진 노이즈 방식으로 가솔린 차량 오토는 제네레다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나, 디젤 ,가스 차량은 반드시 제네레다선을 연결하고 경보기 메인의 딥S/W 1번 OFF,2번은 ON의 위치에 놓아야 한다.
바.  가스 차량의 경우 LPG스위치에서 릴레이를 장착하여 겨울에 가스가 어는 것을 방지 한다.
사.  쌍용차(뉴코란도,무쏘,이스타나)는 ACC선을 IG2(청색)에 결선해야만 키를 뺐을때 바로 무쏘 밸브선에서 (-)가 출력된다.
쌍용차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10P의 녹색선에 한선, 한선은 IG1에 반드시 연결하여 키로 시동을 걸었을때 솔레노이드가 동작하지 않게 한다.

* 소비자 주의 사항
모든 리모콘은 자동차키와 다른 키와 같이 끼워가지고 다니지 말도록 교육 바람.
(리모콘 파손, 오동작의 주원인)
A/S : 전국 대리점,장착점에서 A/S받을수 있다는 것 교육.

     <!--- end 내용 --->


1. 가스 차량

1)  제네레다선 반드시 연결
2)  경보기 메인의 딥 S/W 1번OFF 2번ON
3)  발렛 S/W 6회 전환(가스 차량용)
4)  시동이 잘 안걸릴경우 경보기 메인의 딥S/W 3번ON

* 현대,기아차LPG릴레이 사용법(대우차 스위치 5P 동일)



― 87 : 키로 시동시 12V
― 30 : 가스 밸브 스위치선(시동시 ON,OFF되는 선)
― 85 : 경보기 무쏘 밸브용선(녹색선)
― 86 : 12V 또는 IG1
* 대우차 LPG 릴레이 사용법



― 87a 차의 가스 스위치선
   (찾는법: 스위치를 껐을때 12V 나오는 선)
― 86 : 12V 또는 IG1
― 85 : 경보기의 무쏘밸브용선(녹색선)
    참고 : 2001년 10월이후 차량은 현대, 기아차와 동일



2. 쌍용차 솔레노이드 장착법

1)  무쏘, 뉴코란도, 이스타나 : 키선6P의 ACC선은 IG2에 연결
* 주의 : - 무쏘, 뉴코란도, 이스타나는 키를 ON 또는 시동 걸렸을때 경보기 녹색선(10P)에서'-'신호가 나오면 절대 안됨.
― 제네레이터는 반드시 연결

3. 세피아 오토 에어컨 처리 방법

1)  원리 에어컨 버튼을 켜 놓았을 때 리모콘 시동시 에어컨 작동 않되는 경우 에어컨 컴프레셔는 '-'전원을 받아서 작동하므로 5P 릴레이 사용 IG2를 '-'전원으로 바꾸어 주고 이전차량은 에어컨을 사용치 않을시는 임의로 만든 스위치를 내려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 시켜 준다.
2)  처리



테스터기를 '-'접지 시키고 컴푸선(연두색)을
찌르면 컴푸레셔 작동한다.

― 85 : IG2
― 86+87 : 차체어스(-)
― 30 컴푸선(연두색)

4. 씨에로, 프린스 오토 에어컨



― 에어컨을 사용치 않을시 임의로 스위치를 이용해서 에어컨 전원 차단


5. 차량 자체 경보 장치 해제법

1)  뉴세피아, 포텐샤 도난 방지 크락숀 동작
2)  삼성차 : 트렁크 우측 차체경보기 컨트럴 BOX내 짹 제거
(프린스 일부 차종 동일, 아카디아 신형)
본넷트내 본네트 감지 스위치 짹제거하여 엔진룸쪽 두선 합선하여 차체어스
3)  기타 : 차량 출고시 리모콘으로 문을 연 다음 더 이상 사용치 않으면 됨.

* 뉴그랜져, 다이너스티 도어 처리

이미지




― PCB뒤 기판에서 직접 납땜.

* 카니발1 도어처리 방법
휴즈 박스 상단에 좌우측 2개의 백색 컨넥터 중 좌측 컨넥터에 테스트 램프를 대고 도어 잠김/열림 스위치를 동작하면 잠김/열림 테스트 램프에 불이 들어 오는 선이 나온다.
청색, 적/녹색 선이며,일반선에 비해 두꺼움.
그선을 절단하여 키박스쪽에 선은 각각 테이핑처리하고 문쪽으로 가는 잠김,열림선에 도어릴레이를 사용하여 잠김/열림선에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 투스카니 도어 5P 처리법 - 전구 테스터기를 대면 도어 열림
도어 열림선의 청색을 절단(전면 휴즈 박스) - 모터 미설치 하네스
85 : 도어 잠김(분홍) 87a : 절단한 도어쪽선 86 : 12V
30+절단한 휴즈박스쪽선+도어 열림(분홍/청색)


* 트렁크 (-) 방식 5P릴레이 사용법
85 : 경보기 트렁크 열림선 87+86 : '-'접지
30 : 차체 트렁크 출력선


* 제네레다 12V 이상 나오지 않는 경우
85 : 차량의 제네레다선 86 : '-' 접지
87 : 12V(+) 30 : 경보기 제네레다선(보라색)


* 포텐샤 도어 5P 릴레이 사용법(도어 오동작시)-릴레이 2개 사용
85 : 12V(+) 86 : 경보기의 열림,또는 닫힘
87 : '-' 접지 30 : 자동차의 열림,또는 닫힘


* 5P 릴레이 모터 설치시 사용법- 릴레이 2개 사용
85 : 경보기 도어선 1선 87+86 : 12V(+)
87a : '-' 접지 30 : 도어 모터 1선


* 레조 L.P.G스위치 5선 릴레이 연결법
30 : 열렸을때 12V 85 : 무쏘 밸브선
87 : 시동시 12V 86 : IG1

출처 : Angel 의 집
글쓴이 : Angel 원글보기
메모 :